본문 바로가기

개발/서버관련

인터넷 주소 체계과 웹의 동작 방식

Web을 이해하려면 인터넷 주소 체계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.

Web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TCP/IP, HTTP 프로토콜...DNS서버 ...

이처럼 단어나 키워드는 머릿속에서 둥둥 떠다니는데 정리가 안 된 기분이다. 오늘 이를 제대로 정리해보자!

 

프로토콜(Protocol)

프로토콜이란 컴퓨터끼리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일종의 규약(약속)을 의미한다.

컴퓨터 간 정보를 주고받을 때 데이터 형식이나 통신 순서를 미리 일치시켜야 통신이 가능하다.

 

그렇다면 Web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에는 무엇이 있는가?

1. 인터넷에 사용되는 TCP/IP 프로토콜

2. 웹에 사용되는 HTTP 프로토콜

3. 파일을 주고받을 때 사용되는 FTP 프로토콜

 

인터넷 주소

인터넷 상에서 특정 컴퓨터나 서버를 찾으려면 IP주소 혹은 도메인 네임을 알아야한다.

 

1. IP주소

 - 컴퓨터 간 통신하기 위해 각 컴퓨터(노드)마다 부여된 네트워크 상 주소이다.

 - 네트워크 주소, 호스트 주소로 구성된다.

  1) 네트워크 주소 :  지정된 네트워크 범위의 노드에게 공통적으로 부여된다.

  2) 호스트 주소 : 각 노드들에게 개별적으로 부여된다.


* 예를들면 192.168.109.55라는 IP주소가 있다면 192.168.109는 네트워크 주소이고 55는 호스트 주소이다.

  만약 어떤 회사가 있다면 그 회사의 노드(컴퓨터)들은 같은 네트워크 범위이므로 192.168.109라는 네트워크 주소를 가질 것이다. 그리고 각 컴

  퓨터마다 호스트 주소를 가질 것이고 호스트 주소는 중복되지 않는다. 

 

 - IP주소는 0~255까지의 십진수 4개를 .으로 구분해서 사용한다. (IPv4 경우)

   .을 기준으로 나뉜 10진수는 0~255의 수를 표현하므로 256개의 수다. 이를 2진수로 바꿔서 표현하려면 8비트를 가진다.

   10진수의 수가 총 4개이므로 IPv4는 32비트로 표현된다. 지금 IPv4는 고갈을 면치못할 것으로 예상되서 128비트의 IPv6로

    점점 대체되고 있는 추세이다. 

 

2. 도메인 네임

 - 도메인 네임은 사람이 기억하기 쉬운 형태로 IP주소를 표현한다. 

 - DNS(Domain Name System)을 거쳐 IP주소로 변환된다. 

 

 

웹 동작 방식

클라이언트와 웹 서버가 있다. 클라이언트는 네이버에 접속하려한다. 웹은 어떻게 동작할까?

 

1. 클라이언트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네이버의 URL(www.naver.com)을 입력한다.

2. DNS 서버에서 입력된 URL 중 도메인 네임의 IP주소를 찾아 전달한다.

3. 전달받은 네이버 IP주소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해 HTTP Request Message를 생성한다.

4. 생성된 요청 메세지는 TCP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네이버 IP 주소 컴퓨터로 전송된다.

5. 네이버 웹 서버는 도착한 메세지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검색한 후 HTTP Response Message를 생성한다.

6. 생성된 응답 메시지는 TCP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클라이언트에게로 전송된다.

7. 도착한 응답 메시지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웹 페이지 데이터로 변환된다.

8. 변환된 데이터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출력되어 클라이언트가 볼 수 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반응형

'개발 > 서버관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REST API 가 무엇인가?  (0) 2020.06.23
동기와 비동기 방식  (0) 2020.05.31
Session(세션) 과 Cookie(쿠키)  (0) 2020.05.31
GET과 POST 방식  (0) 2020.05.31
Web 이란? / App과의 차이점  (0) 2020.05.30